德不孤必有隣 (덕불고필유인) 德不孤必有隣 덕 불 고 필 유 인 덕이 있는자 외롭지 않고 반드시 이웃이 있다 가장 훌륭한 어머니는 자식 앞에 눈물을 보이지 않은 어머니 가장 훌륭한 아버지는 남 몰래 눈물을 흘릴 줄 아는 아버지 가장 훌륭한 부인은 시부모님께 까닭없이 혼이나도 남편 앞에 미소짖는 부인 .. 좋은 글· 시 2012.01.29
樹欲靜而風不止(수욕정이풍부지) 子欲養而親不待 ( 자욕양이친부대 )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수욕정이풍부지 자욕양이친부대 ) 나무는 가만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은 효를 다하고자 하니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네 《한씨외전(韓氏外傳)》에 나오는 구절이다. 風樹之嘆(풍수지탄) 바람과 나무의 탄식이란 말로, 효도를 다 .. 좋은 글· 시 2011.11.28
사랑하는 내 아들아...| 아들아! 결혼할 때 부모 모시겠다는 여자 택하지 마라. 너는 엄마랑 살고 싶겠지만 엄마는 이제 너를 벗어나 엄마가 아닌 인간으로 살고 싶단다. 엄마한테 효도하는 며느리를 원하지 마라. 네 효도는 너 잘사는 걸로 족하거늘…. 네 아내가 엄마 흉을 보면 네가 속상한 거 충분히 .. 좋은 글· 시 2011.11.13
법정스님의 가을이야기 ♡ ♤ 법정스님의 가을 이야기 ♤ ♡ 조금 차분해진 마음으로 오던 길을 되돌아볼 때, 푸른 하늘 아래서 시름시름 앓고 있는 나무들을 바라볼 때, 산다는 게 뭘까 하고 문득 혼자서 중얼거릴 때, 나는 새삼스레 착해지려고 한다. 나뭇잎처럼 우리들의 마음도 엷은 우수에 물들어간다. 가을.. 좋은 글· 시 2011.11.01
인생 8고(八苦)와 인생삼락(三樂) ♣인생 8고(八苦)와 인생삼락(三樂)♣ 인생 8苦(八苦) 1) 첫째는 생고(生苦)이니, 태어남이 고통(苦痛)2) 둘째는 노고(老苦)이니, 늙어감이 고통(苦痛)3) 셋째는 병고(病苦)이니, 몸아픔이 고통(苦痛)4) 넷째는 사고(死苦)이니, 죽어감이 고통(苦痛) 5) 다섯째는 애별리고(愛別離苦)이니, .. 좋은 글· 시 2011.10.29
어느 부모가 자식에게 보내는 편지 내 사랑하는 아들 딸들아! 언젠가 우리가 늙어 약하고 지저분해지거든 인내를 가지고 우리를 이해해 다오. 늙어서 우리가 음식을 흘리면서 먹거나 옷을 더럽히고, 옷도 잘 입지 못하게 되면, 네가 어렸을 적 우리가 먹이고 입혔던 그 시간들을 떠올리면서 미안하지만 우리의 모습을 조금만 참고 받아.. 좋은 글· 시 2011.10.15
그리움을 붙들고 사는 이유...... 그리움을 붙들고 사는 이유.... 그리움을 붙들고 사는 것은 꼭 사랑 때문만은 아닙니다. 그리움을 놓치고 살면 금방이라도 죽을 것만 같은 두려움 때문입니다. 그리움에 매달려 사는 것은 꼭 그대이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그리움을 놓아버리면 당신 만나 비로소 알게 된 큰 세상 등지고 그대 만나기 이.. 좋은 글· 시 2011.10.04
부부 싸움엔...... 기술이 필요하다!! 싸우며 살지 않는 부부는 너무 싱겁다. 그렇지만 룰을 지키지 않는 부부싸움은 싸우지 않는 부부만 못하다 생각한다. 처음엔 서로 간에 기선(?) 제압을 위해 싸우지만 그 싸움이란 것이 눈치가 빨라야 한다. 이기는 것이 능사는 아니니까.. 져주어야 할 때와 꼭 이겨야 할 때를 알기란.. 좋은 글· 시 2011.07.25
[문화 속 생태] 오얏나무와 자두 그리고 풍개 대한제국의 꽃 오얏꽃, 왜 계승 안했을까 -풍개와 자두가 오얏 늘 이맘 때면 먹는 풍개가 자두고 자두가 바로 오얏(李)이란다. 풍개가 오얏이고 자두라는 사실을 나는 왜 이렇게 늦게 알았을까? 대한제국의 국기 태극기는 대한민국까지 계승됐는데 대한제국의 꽃 오얏꽃은 왜 대한민국에서 무궁화로 바.. 좋은 글· 시 2011.07.12
가장 멋진 인생이란 ? ★ --가장 멋진 인생이란-- ★ 가장 현명한 사람은 늘 배우려고 노력하는 사람이고, 가장 훌륭한 정치가는 떠나야 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이 되면 하던일 후배에게 맡기고 미련없이 떠나는 사람이며, 가장 겸손한 사람은 개구리 되어서도 올챙이적 시절을 잊지 않는 사람이다. 가장 넉넉한 사람은 자기 .. 좋은 글· 시 2011.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