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淸風明月本無價 (청풍명월본무가) * 청풍명월(淸風明月)은 본래(本來) 값이 없는 것이며
近水遠山皆有情 (근수원산개유정) * 가까운 물과 먼 산(山)은 다 뜻이 있는 것이로다.
02. 靑山不墨千秋屛 (청산불묵천추병) * 청산(靑山)은 그림이 아닌 천년(千年)의 병풍(屛風)이요
流水無絃萬古琴 (류수무현만고금) * 흐르는 물은 줄이 없는 만고(萬古)의 거문고로구나.
03. 靑山無話花長笑 청산무화화장소 * 청산(靑山)은 말이 없어도 꽃은 오래도록 웃고
流水多情鳥倂歌 유수다정조병가 * 유수(流水)는 다정(多情)해서 새와 함께 노래하누나.
04. 黃金萬兩未爲貴 황금만냥미위귀 * 황금(黃金)의 만냥이 귀(貴)한 것이 아니요.
得人一語勝千金 득인일어승천금 * 좋은 말 한 마디 듣는 것이 천금(千金)보다 귀(貴)한 것이다.
05. 金剛山高松下立 금강산고송하립 * 금강산(金剛山)이 높다하나 소나무 아래 서 있고,
漢江水深沙上流 한강수심사상유 * 한강(漢江) 물이 깊다하나 모래 위에서 흐른다.
06. 萬物靜觀皆自得 만물정관개자득 * 만물(萬物)은 조용히 바라보면 그 이치(理致)를 스스로
다 터득하게 되고,
四時佳興與人同 사시가흥여인동 * 시철의 아름다운 흥(興)을 여러 사람과 함께 같이 한다.
07. 桐千年老恒藏曲 동천년노항장곡 * 오동나무는 천년이 지나도 곡조를 머금고 있고,
梅一生寒不賣香 매일생한불매향 * 매화는 일생을 추운데서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08. 富不驕人富不盡 부불교인부부진 * 부자(富者)가 교만(驕慢)하지 않으면 항상 부귀(富貴)할
것이요.
貴無凌賤貴無窮 귀무능천귀무궁 * 귀인(貴人)이 천인(賤人)을 업신여기지 않으면
항상 귀인이 될 것이다.
09. 山上靑松君子節 산상청송군자절 * 산(山) 위의 저 푸른 소나무는 군자(君子)의 절개(節槪)요,
水中蓮葉佳人香 수중연엽가인향 * 물 가운데 연(蓮) 잎은 아름다운 사람의 향기(香氣)로구나.
10. 父不憂心因子孝 부불우심인자효 * 부모(父母)님의 마음에 근심하지 않으면 자식이
효도(孝道)를 하기 때문이고,
夫無煩惱是妻賢 부무번뇌시처현 * 남편(男便)이 번뇌(煩惱)함이 없음은 아내가 어질기
때문이다.
11. 丹靑不知老將至 단청부지노장지 * 그림에 몰두하여 늙음을 알지 못하고,
富貴於我如浮雲 부귀어아여부운 * 부귀(富貴)는 나에게 뜬구름 같다.
12. 落花有意隨流水 낙화유의수유수 * 떨어진 꽃은 뜻이 있어 흐르는 물을 따르는데,
流水無情送落花 유수무정송낙화 * 물은 무정(無情)하게 떨어진 꽃을 보내는구나.
13. 事能知足心常樂 사능지족심상락 * 자기(自己)의 일에 만족(滿足)함을 알면 마음이 항상 즐겁고,
人到無求品自高 인도무구품자고 * 사람이 구(求)함이 없는데 이르면 품위(品位)가 스스로
높아진다.
14. 事不三思終有悔 사불삼사종유회 * 일을 함에 있어 세 번 생각하지 않으면 뉘우침이 있고.
人能百忍自無憂 인능백인자무우 * 사람이 백 번 참으면 스스로 근심이 없게 된다.
15. 事在人爲成者天 사재인위성자천 * 일은 사람이 하지만 이루는 자는 하느님이시고,
福從天降召者人 복종천강소자인 * 복(福)은 하느님이 내려 주시지만 부르는 자는 사람이다.
16. 一勤天下無難事 일근천하무난사 * 한결같이 부지런한 사람은 천하(天下)에 어려운 일이 없고,
百忍堂中有泰和 백인당중유태화 * 백 번을 참는 집에는 화평(和平)함만이 있을지어다.
17. 莫謂當年學日多 막위당년학일다 * 지금은 배울 날이 많고 많다 말하지 말라.
無情歲月若流波 무정세월약유파 * 무정(無情)한 세월(歲月)은 흐르는 물과 같은 것이다.
18. 忠孝是吾家至寶 충효시오가지보 * 충효(忠孝)는 우리 집의 지극한 보배요.
詩書是士家良田 시서시사가양전 * 시서(詩書)는 선비의 집에 좋은 밭(양전=良田)과 같은 것이다.
'좋은 글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언절구 (0) | 2012.01.19 |
---|---|
家訓으로 쓸수있는 글귀 (0) | 2012.01.18 |
申欽의 칠언절구 (0) | 2011.12.29 |
桐千年老恒藏曲(동천년노항장곡) / 申欽 (0) | 2011.12.28 |
차한잔의 여유..★山中問答 (산중문답).."남으로 창을 내겠소" (0) | 201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