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哭)대신 노래를 부르다
장자는 이 일화 속에서 개인의 안락함이나 대중의 존경 따위에는 전혀 신경쓰지 않은,
예측불허의 괴팍한 성인으로 나타나 있다.
그의 의복은 거칠고 남루했으며 신발은 떨어져나가지 않게 끈으로 발에 묶어놓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비천하거나 가난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의 친한 친구인 혜시(惠施)가 부인의 상(喪)을 당한 장자를 조문하러 와서 보니,
장자는 돗자리에 앉아 대야를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혜시가 장자에게 평생을 같이 살고 아이까지 낳은 아내의 죽음을 당해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느냐고 따지자,
장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아내가 죽었을 때 내가 왜 슬프지 않았겠는가?
그러나 다시 생각해보니
아내에게는 애당초 생명(生命)도 형체도 기(氣)도 없었다.
유(有)와 무(無)의 사이에서 기가 생겨났고,
氣가 변형되어 형체가 되었으며,
형체(形體)가 다시 생명(生命)으로 모양을 바꾸었다.
이제 삶이 변하여 죽음이 되었으니
이는 춘하추동의 4계절이 순환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아내는 지금 우주 안에 잠들어 있다.
내가 슬퍼하고 운다는 것은 자연의 이치를 모른다는 것과 같다.
그래서 나는 슬퍼하기를 멈췄다."
이에 惠子는 입을 다물고 깊은 생각에 잠겼다.
장자(莊子)는 기본적으로
삶과 죽음은 연결된 순환(循環)으로 본다는 것이다.
생(生)과 사(死)는
기(氣)의 모임과 분산(分散)의 차이 일뿐 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죽음에 임하여 너무 슬퍼하지 말며,
삶에 대하여도 지나치게 집착(執着)하지 말라.
장자 철학(哲學)에서는 삶과 죽음의 화해(和解)가 이루어진다.
장자(莊子)와 제자(弟子)들의 대화
장자(莊子)의 죽음에 임하여
제자(弟子)들이 장사(葬事)를 후하게 치르려고 계획했으나
이를 들은 장자는,
"나는 천지로 관(棺)을 삼고,
일월(日月)로 연벽(連璧)을,
성신(星辰)으로 구슬을 삼으며,
만물이 조상객(弔喪客)이니 모든 것이 다 구비되었다.
무엇이 더 필요한가?"라고 말하면서 그 의논을 즉시 중단하게 했다.
이에 제자들은 깜짝 놀라 매장을 소홀히 하면
까마귀와 솔개의 밥이 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장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땅 위에 있으면 까마귀와 솔개의 밥이 되고,
땅속에 있으면 땅속의 벌레와 개미의 밥이 된다.
까마귀와 솔개의 밥을 빼앗아 땅속의 벌레와 개미에게 준다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
위와 같은 장자의 기괴한 언동은
그의 숙명론에 대한 깨달음과 직결되어 있다.
장자에 의하면 인생의 모든 것이 하나,
즉 도(道)로 통한다는 것을 인식해야만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註 : 장자(约前369年—前286年)는 만물 일원론을 주창하였다.
어느 날 장자는 자기가 나비가 되어 훨훨 자유로이 날아다니는 꿈을 꾸었다.
그러나 잠을 깨니 내가 꿈을 꾸고 나비가 된 것인지,
아니면 나비가 꿈을 꾸고 지금의 내가 되어 있는 것인지 모를 일이었다.
장자는 이처럼 상식적인 사고 방식에 의문을 품고 유학자들이 말하는 도덕적 가르침 따위는 하잘 것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노자(老子 : 604 BC, Zhou Dynasty :前600年 左右 - Zhou Dynasty : 在前470年左右)의 생각을 이어받아
자연으로 돌아갈 것과 무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장자〉에서 모든 경험이나 지각의 상대성은 '만물의 통일성'(萬物齊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도가 어디에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장자는 도가 없는 곳이 없다고 대답했다.
더 구체적인 설명을 요청받자 장자는
개구리와 개미, 또는 그보다 더 비천한 풀이나 기와 조각,
더 나아가서 오줌이나 똥에도 도가 깃들어 있다고 단정했다.
도가 어디에나 있다는 단정은 그뒤에 중국불교에서도 나타난다.
그들은 이와 유사한 예를 들어 아무리 미천한 것에도 불성(佛性)이 깃들어 있다고 설명했다.
장자야말로 무애자재(無碍自在)의 도를 깨친 위대한 사상가였다.
출처 : Han bahn doh (http://blog.daum.net/allpeninsula/7512255)
'좋은 글·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 들어 존경받고 즐겁게 사는 방법 (0) | 2013.09.07 |
---|---|
[스크랩] 푸르른 날 (0) | 2013.09.07 |
人間의 五福과 德을 쌓는 五言節句 (0) | 2013.07.10 |
"산의 철학" - 안병욱 교수 (0) | 2013.07.04 |
뜨거운 가슴으로 7월을 맞이하자 (0) | 2013.06.30 |